✅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와 HTTPS(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)란?
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
정의 :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
특징 : 80번 포트 사용,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은 stateless 프로토콜
구조 :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/IP 위에서 작동한다. method, path, version, headers, body 등으로 구성
하지만 HTTP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였기 때문에, 민감한정보를 주고 받으면 제 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.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S가 등장하게 되었다.
HTTPS(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)
정의 :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
특징 : 443번 포트 사용, 네트워크 상에서 중간에 제 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암호화를 지원, 암호화/복호화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http보다 속도가 느리다. (오늘날에는 거의 차이를 못느낄 정도로 발전), 인증서를 발급하고 유지하기 위한 추가비용 발생
구조 :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/IP 위에서 작동한다. method, path, version, headers, body 등으로 구성
✅HTTPS의 암호화 방식
주로 공개키 암호화와 대칭키 암호화를 조합하여 사용된다. (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 보호)
*무결성(Integrity) : 데이터나 정보가 변조되거나 손상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보안 속성
대칭키 암호화(Symmetric Encryption):
-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, 동일한 키로 암호문을 복호화하는 방식
- 대문을 잠그는 자물쇠, 자물쇠를 잠근 열쇠만이 그 자물쇠를 다시 열 수 있다
- 사전에 대칭키를 공유하고 있어야한다
장점 : 간편하고 암/복호화가 빠르다
단점 : 키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한다면 내 암호문을 누군가 복호화하여 볼 수 있는 치명적 단점 존재
공개키(비대칭키) 암호화(Asymmetric Encryption):
- 두 개의 서로 다른 키인 공개키, 개인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
-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개인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다
- 공개키는 공개적으로 배포되며, 개인키는 비밀로 유지된다. 공개키는 사전에 공유되어야 한다.
-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공개키를 요청한다
-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공개키를 제공한다
- 클라이언트는 공개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보낸다
- 서버는 자신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로 받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한다.
- 이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데이터 통신은 암호화 되어있으며 중간에서 누군가가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데이터를 해독할 수 없다.
장점 : 안전한 키 교환, 서버의 공개키만을 배포하면 되기에 교환의 용이성, 비밀키 유출 우려 감소, 대칭키보다 복잡하며 보안성이 높다
단점 : 공개키/복호화 키를 만들 때 수학적 관계를 만족해야하며 암/복호화 함에 있어서 수학적 연산이 수행되어야하기때문에 처리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존재한다.
- RSA :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중 하나로 암호화 및 디지털 서명에 사용된다.
하이브리드 암호화(Hybrid Encryption):
-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(공개키) 암호화를 조합하여 보안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암호화 방식
-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 각각의 장단점을 극복함
- 웹서버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
- 클라이언트 (웹브라우저) 는 웹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암호화에 사용할 대칭키를 생성
- 클라이언트는 웹서버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대칭키를 암호화, 웹서버에 전송
- 웹서버는 개인키를 사용하여 클아이언트가 보낸 암호화된 대칭키를 복호화
- 이후 클라이언트-웹서버는 대칭키를 사용하여 통신
- 대칭키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전송이 빠르고 효율적이며, 보안성은 개인키를 통해 보장된다
✅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ful API란?
- 정의 : REST 아키텍쳐 스타일을 따르는 웹 API
-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, 자원(데이터)를 고유한 URL로 식별함
- HTTP 메서드 (GET, POST, PUT, DELETE 등)을 사용함
- Stateless(무상태) 통신 : 상태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요청간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관리,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확장성을 향상시킨다
결론 : RESTful API는 웹 서비스를 개발하고 구축하는데 유용하고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플랫폼 사이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연동하는데에 활용된다. API의 일관성과 표준화는 개발 생산성을 높인다.